구글시트로 데이터 준비하는 법

Glide 앱 제작에서 가장 중요한 단계 중 하나는 바로 구글시트로 데이터를 준비하는 작업입니다. Glide는 구글시트를 기반으로 앱을 구성하기 때문에, 이 시트를 어떻게 설계하느냐에 따라 앱의 전체적인 구조가 달라집니다.

저도 처음 Glide를 접했을 때, 구글시트가 단순한 데이터 저장소 정도로만 여겨졌습니다. 그런데 쓰면 쓸수록, 구글시트 자체가 앱의 설계도라는 걸 깨달았죠. 이번 글에서는 앱 제작 전에 구글시트를 어떻게 구성해야 하고, 어떤 점을 고려해야 하는지를 실제 경험을 바탕으로 정리해보겠습니다.

구글시트로 데이터 준비하는 법

1. 하나의 시트 = 하나의 데이터셋

Glide에서 각 시트는 하나의 데이터베이스 테이블처럼 작동합니다. 예를 들어, 앱에서 사용자 목록, 상품 목록, 예약 목록 등 각각의 데이터를 다룬다면, 이를 각각의 시트로 나눠 작성해야 합니다.

즉, 다음과 같이 설계하는 것이 기본입니다.

  • Sheet1: 사용자 목록
  • Sheet2: 상품 리스트
  • Sheet3: 예약 내역

처음엔 하나의 시트에 모든 데이터를 넣고 싶어질 수도 있지만, 그렇게 되면 관리가 어렵고 앱 연결도 복잡해집니다. 한 가지 주제 = 한 시트 원칙을 지키는 것이 앱 설계의 출발점입니다.

2. 첫 번째 줄은 열 제목(Header)

구글시트에서 가장 중요한 건 1행, 즉 열 제목을 명확히 설정하는 것입니다. 이 열 제목이 Glide 앱에서는 데이터 필드 이름으로 사용되기 때문입니다.

예시로 ‘이름’, ‘이메일’, ‘전화번호’ 같은 제목을 첫 줄에 입력하면, Glide는 자동으로 이 데이터를 각각의 필드로 인식해서 앱에 구성해 줍니다.

주의할 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 열 제목은 반드시 첫 번째 줄에 위치해야 함
  • 공백 없이 간결하게 작성 (예: '이름' 대신 'full_name' 같은 식)
  • 중복된 열 제목은 피하기

저는 초반에 열 제목에 공백과 특수문자를 마구 넣었다가 Glide에서 데이터를 못 읽는 오류를 겪었습니다. 이후부터는 항상 영어로 간단하고 일관되게 작성하고 있어요.

3. 데이터 유형에 따라 열을 구분하기

Glide는 열의 내용에 따라 자동으로 데이터 유형을 판단합니다. 예를 들어:

  • 이메일 주소가 있으면 이메일 필드로 자동 인식
  • 숫자가 있으면 숫자 입력창으로 자동 설정
  • 날짜 형식이면 달력 위젯으로 자동 생성

그렇기 때문에, 데이터 형식을 일관성 있게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하나의 열에 날짜와 텍스트가 섞여 있다면 Glide가 제대로 인식하지 못할 수 있습니다.

4. 이미지 링크 활용하기

Glide에서 이미지를 보여주려면, 구글시트에 이미지 URL을 넣는 방식을 사용합니다. 직접 이미지를 넣는 것이 아니라, 링크로 불러오는 방식이죠.

이미지는 보통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삽입합니다.

  • Unsplash 같은 무료 이미지 사이트에서 이미지 주소 복사
  • 자신의 구글 드라이브에 이미지를 업로드하고 링크 공유 설정
  • Glide 내부에서 이미지 업로드하고 URL 복사

처음에는 이미지 열에 그냥 파일을 넣었다가 Glide에서 아무 것도 안 보이길래 당황했던 기억이 납니다. 꼭 링크 형식(URL)으로 넣어야 이미지가 정상적으로 표시됩니다.

5. 불필요한 열이나 시트 제거하기

처음 만들다 보면 여러 열과 시트를 만들었다가 방치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나 Glide는 시트 내 모든 데이터를 로드하기 때문에, 불필요한 열과 시트가 많을수록 속도가 느려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앱에 실제로 사용하지 않는 열은 과감히 삭제하고, 시트도 정리하는 습관이 중요합니다. 저도 앱을 어느 정도 만든 뒤에 시트를 정리하니, 앱 속도가 훨씬 빨라지고 구조도 더 명확해졌습니다.

6. 실전 예시: 체크리스트 앱용 구글시트

예를 들어 ‘오늘의 할 일’ 체크리스트 앱을 만든다고 가정하면, 시트는 다음과 같이 구성할 수 있습니다.

  • 열 제목: task, status, due_date
  • 데이터 예시:
    • task: 블로그 글쓰기
    • status: 미완료
    • due_date: 2025-08-05

이렇게 시트를 만들고 Glide와 연동하면, 자동으로 체크박스와 날짜 선택 UI가 구성되며 매우 깔끔한 앱이 완성됩니다.

마무리하며

Glide 앱의 완성도는 구글시트 설계에 달려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앱을 복잡하게 만들수록 구글시트도 점점 체계적인 데이터베이스처럼 다뤄야 합니다. 처음에는 간단하게 시작하더라도, 시간이 갈수록 시트 관리가 앱의 핵심이 됩니다.

저는 구글시트를 제대로 활용하기 시작하면서 Glide 앱 제작 속도가 훨씬 빨라졌고, 오류도 줄어들었습니다. 아직 낯설더라도 몇 번 직접 구성해보면 감이 잡힙니다. 다음 글에서는 이렇게 준비한 구글시트를 Glide에 연동하는 방법을 상세히 소개해드릴게요. 지금까지 따라오셨다면 앱 제작의 반은 이미 준비된 셈입니다.

구글시트로 데이터 준비하는 법 구글시트로 데이터 준비하는 법 Reviewed by 지적호기심 on 8월 03, 2025 Rating: 5
Powered by Blogger.